“비행기는…”
비행기가 무엇을 하는 것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어디 가면 볼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 줄 몰랐다. 마치 공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에게 그것을 설명하는 것과 같았다. 통역하던 현지인 사역자가 도와주지 않았다면 이 아이들은 외계인의 비행접시 이야기만 듣다가 집으로 돌아갈 뻔 했다. 분명 자세히 아이들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설명했으나 아이들은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을 짓고 있었다.

색연필을 처음 봐요
몇 년 전 동남아시아 깊은 산속에 있는 작은 오지 마을에서 있었던 일이다. 전기가 없어 TV나 전기제품이 있을 리가 없다. 산에서 내려오는 물로 샤워를 하고, 거기에서 빨래도 하고, 음식도 만든다. 산에서 재배한 쌀이 주식이고 이따금 산 속에서 야생 동물을 잡으면 특식을 먹는 날이다. 이곳은 관광객은커녕 외국인 한 명 다녀가지 않는 마을이다. 나도 현지인 사역자가 아니었다면 세상에 이런 마을이 있다는 것도 모르고 살았을 것이다. 사역자가 자기의 고향 마을이라며 데리고 왔기에 올 수가 있었다.
아이들에게 문명의 혜택을 주고 싶어서 플라스틱 악기를 한 상자 샀고, 몇 가지 학용품도 가지고 갔다. 그러나 도착해보니 그 아이들은 악기는커녕 색연필조차 구경해 본 적이 없었다. 공산정부에서 세운 마을에 하나뿐인 학교에는 아이들은 90명인데 선생님은 한 명뿐이었다. 어찌 선생님 한 명이 이 모든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을는지….

나무토막 하나에도 행복한
아이들과 종이비행기를 만들어 날리는 공작놀이를 했다. 아이들은 작은 비행기를 하늘로 날리며 마치 자기가 하늘을 나는 것처럼 좋아했다. 그러나 그들은 자기가 만든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그것이 ‘비행기’라고 설명을 하느라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발명했던 1903년 당시로 돌아가 주민들을 이해시키는 것과 같은 해프닝이 벌어졌다.
학교가 끝나면 동네 한가운데 있는 마당에서 아이들과 놀이를 했다. 장난감이라고는 나무토막이나 대나무 정도가 전부였다. 내가 볼 때 아무 의미도 없을 것 같은 놀이인데도 아이들은 그저 즐겁고 행복하기만 했다.
저녁에 마당에서 놀고 있으면 학교에서 보이지 않던 아이들도 간간이 보였다. 낮에 왜 학교에 오지 않았냐고 물으면 부모를 도와 산에 가서 일을 했다고 대답했다. 어떤 아이는 온 식구가 일하러 먼 곳에 가서 집에서 아이를 보고 집안일을 하느라 학교에 못 간다고 했다. 짐작하건데 8살 정도 밖에 안 된 아이였다. 그런 아이들이 밭으로, 강으로, 집에서 일을 하느라 학교는 항상 뒷전인 셈이다.
낮에 학교에 오지 못한 아이에게 주머니에 있던 사탕 하나를 꺼내주면 너무 고마워 어쩔 줄 몰라 했다. 그러나 그것조차 자기 입에 넣지 않고 등에 업고 있던 아이의 입에 넣어 주었다.
또한 학교에서 만들어 날린 종이비행기가 남아 있어서 그것을 주면 어떤 아이는 마치 보잉 747 진짜 비행기를 받은 것처럼 좋아했다. 풍선 하나 불어줘도, 크레용 반 토막을 쥐어줘도 아이들은 귀한 걸 얻은 것처럼 좋아하고 행복해 했다.

그 순간마다 나는 그 아이들의 눈빛 속에 비치는 내 모습을 거꾸로 비쳐보게 된다. 이 아이들은 종이 한 장만 있어도 만족하고 행복해 하는데, 나는 무엇을 더 가져야 행복할까? 이 아이들은 사탕 하나만 있어도 만족해하는데 난 뭘 얼마나 더 잘 먹어야 만족스럽게 먹었다고 할 수가 있을까? 만족의 수준을 낮추면 지금 이 순간도 만족하고 행복하지만, 비교하는 삶을 살게 되면 결국 행복과 멀어진다는 것을…

박태수
C.C.C. 국제본부 테스크포스팀에 있으며, 미전도종족 선교네트워크 All4UPG 대표를 맡고 있다. 지구촌 땅 끝을 다니며 미전도종족에 복음을 전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땅 끝에서 복음을 전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글로 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