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여름 40도를 오르내리는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로 국민들 모두 참 힘들었습니다. 온열질환자가 3,500여 명에 달했고, 사망자도 40명을 넘어섰지요. 폭염피해를 받기 쉬운 대상은 노약자들인데 더위에도 불구하고 외부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50~60대가 많다고 합니다. 뭔가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돼야하지 않을까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 따르면 5월 평균기온이 25도 이상이었던 해가 늘어, 2010년대엔 16일로 급증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은 5월부터 시작된다고 봐야 한다는 겁니다.
폭염은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가축과 수산물 폐사 등 재산피해와 환경문제도 유발합니다. 이외에도 물 부족, 전력사용 급증, 불쾌지수 상승으로 인한 사회적문제 등 직간접적인 피해가 엄청나지요.
지난 십 수 년 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기후변화와 폭염의 위험성을 알리며 대응과 적응을 촉구했지만 대한민국은 꿈쩍도 하지 않았습니다. 예산자체가 없고, 정책이란 것은 탁상행정식이었고,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히 물마시며 알아서 조심하라는 문자가 전부였습니다. 지자체별로 횡단보도에 그늘막치고, 어려운 가정에 얼음생수 나눠주는 것이 그나마 효과를 봤다고 할까요.

새삼스레 과거를 돌아보자면 기후변화 대응하자 할 때 산업계는 고충을 몰라준다며 반대했고, 힘들게 잡아가던 중심도 정권이 바뀌면서 하루아침에 뽑혀나갔습니다. 남은 것은 여전히 ‘남 탓’과 ‘하는 척’입니다. 각 분야가 맡아야 할 책임, 시민정신을 잃어버린 결과라 하겠습니다. 정부가 못하는 기후변화적응을 위해 할 일이 많은데 우선은 어떻게 하든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방법을 찾아 시행해야 합니다.

도시에 나무를 심어 숲을 키워야 합니다. 매년 100만 그루 이상 나무심기로 온도를 낮춘 대구 사례를 배워야겠지요.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등 시민 각자가 할 일도 물론 계속해야 합니다. 앞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육지 전체에 나타날 가능성은 90%가 넘는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합니다. 폭염이 일상이 되는 현실에서 취약계층을 돌보지 않으면 끔직한 사회적 재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폭염피해는 금방 잊힙니다. 그래서 지금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내년 여름은 어느새 다시옵니다.

환경일보 대표이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KAIST와 POSRI 연구위원,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에너지공단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