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식량화로 식량부족과 온실가스 돌파

2050년엔 전 세계 인구가 90억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지금 같은 생산 방식으로 그 많은 사람들이 먹을 식량을 조달할 수 있을까요?
이런 배경에서 곤충이 미래 식량자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어 기대를 모으는데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도 기아 퇴치, 영양 보충, 환경오염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식용 곤충을 지목했고, 전 세계에서 20억명 이상이 이미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한 곤충을 먹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뉴욕의 한 식당에선 귀뚜라미가 들어간 멕시코식 타코(taco)가 인기를 끌고, 맨해튼에는 3~4개 곤충 식당들이 성업 중이기도 합니다.
곤충은 사육조건이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이라는 점이 장점입니다. 앞으로 소, 돼지를 제치고, 미래의 주 단백질원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메뚜기, 식용 누에번데기, 백강잠이라 불리는 말린 누에고치 등의 곤충들이 식용으로 허가돼 있습니다.
곤충의 단백질 함량은 약 50%로 육류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며,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비타민 같은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답니다. 귀뚜라미 1kg을 키우는데 1.7kg의 먹이가 필요한데요. 이는 닭(2.5), 돼지(5), 소(10)에 비해 사육의 경제성 면에서도 월등히 효율이 높다는 겁니다. 또 1kg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식용 가능량도 귀뚜라미의 경우 800g으로 닭(550), 돼지(550), 소(400)에 비해 훨씬 높습니다. 또한 소, 돼지 등에 비해 귀뚜라미 같은 곤충들은 이산화탄소나 암모니아 같은 환경 유해물질 배출도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곤충을 식량화하기에는 오랜 세월 고착된 식습관을 극복해야 한다는 큰 도전이 남아있습니다. 곤충이 식탁에 계속 오르려면 안정적으로 공급할 양식업자가 있어야 하는데 수요가 대폭 늘지 않을 경우 경제성 확보가 어려워 지속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됩니다. 식용곤충을 먹자는 운동이 확산되려면 의식전환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다양한 메뉴 개발이 우선입니다. 영양과 효능을 밝히고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섬세하게 배려해야 합니다. 분말을 내서 쿠키나 머핀을 만드는 방식 등 거부감 없이 식용으로 활용될 기술도 개발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식량을 자립하지 못하고 국제 곡물시장에 의존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다양한 식량자원 확보에 박차를 가해야 하지 않을까요.

환경일보 편집대표이사이자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KAIST와 POSRI 연구위원,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에너지공단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