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가능에너지 도입 등 녹색전환 교육 시급

기후위기가 현실로 가까이 다가오면서 전 지구가 폭우와 폭염 등 재해로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단기적 대책과 더불어 시급한 과제 중 하나는 2세대에 대한 ‘지속가능발전(SD, Sustainable Development) 교육’이다. 환경·사회·경제의 조화로운 관계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도 중요하지만, 대학 교양교육의 틀을 바꿔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무게를 둬야 맥락을 이어갈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대학에서 ‘환경과학’이나 ‘환경학 개(원)론’을 보여주기식 과목으로 넣고 개발은 죄악, 보존은 최선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주입해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몰아왔다. 폭넓은 학문과 사고를 통해 새로운 도전이 계속되도록 해야 하는데도 현실과 맞지 않는 뒤처진 교육이 묵인되어온 것이다.
지속가능발전의 틀 안에서 경제와 환경의 함수관계를 제대로 전하고, 기후변화·녹색성장·그린뉴딜도 이해시켜야 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기후위기는 세계적 대변혁이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큰 변수다. 그러므로 환경과학과 기술을 폭넓게 조명해 모든 학과의 필수 공통교양과목으로 만들고 학과별로 특성화해 적용이 가능하도록 커리큘럼을 만들어야 한다. 해외 우수대학과의 교류, 첨단실험기기 도입도 필요하지만, 급변하는 세계 흐름을 실시간 알리고 교육시키려는 의지를 갖고 투자해야 한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주입식 교육보다 살아있는 정보와 지식이기에, 젊은이들이 도전할 수 있도록 건전한 자극을 계속 제공해야 한다.
또한 미래 주역인 대학생들의 생각도 들어보고 도전의 길을 열어주는 소통의 장이 필요하다. 한 예로 재생가능에너지의 생산과 사용에 미온적인 국내 대학들과 달리 미국 대학들은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으로 소비전력 100%를 충당한다는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보스톤 대학은 사우스다코타 주 풍력발전소와 계약을 맺고 풍력으로 생산한 전력을 매입해 소비 전력 100%를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대학들이 자발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 도입을 포함해 ‘그린캠퍼스’로의 녹색전환을 시작하길 주문한다. 대학의 경영과 활동, 교육내용 전반에 걸쳐 진정성 있는 녹색화가 시스템으로 정착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최고 지도자, 경영자의 책임 있는 선언과 더불어 충분한 예산 배정, 전체 교직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 관련 필수과목 개설 등 실질적인 활동이 이어져야 한다. 지금같이 어려운 때가 바로 완전히 새로워질 좋은 기회다.

김익수
환경일보 편집대표이며, 한국환경정책학회 및 대기환경학회 이사이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