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맞춤형 대안 내고, 부동산거래에도 반영해야

라돈은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그동안 남의 일인 듯 보였지만, 최근 모 회사 침대 매트리스 등에서 라돈이 검출되며 커다란 사회이슈가 됐지요.
라돈은 공기를 따라 이동하다보니 어디든 존재할 수 있고, 비활성기체로 분해가 불가능한 특성이 있답니다. 토양 중 라돈이 주택 내부로 들어와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면 라돈 자핵종이 폐에 붙어 영향을 주는 것이 문제입니다. 겨울철 실내를 따뜻하게 하다보면 온돌효과로 인해 실내 음압이 형성되면서 압력차이로 인해 라돈 농도는 더 높아집니다. 추워도 수시로 환기가 필요한 것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같은 집에서도 장소별로 농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시간대별 편차도 크고요.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라돈농도가 높지만,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해 상층부도 고농도로 오염될 수 있습니다.
불량 건축자재로 인해서도 라돈은 발생합니다. 미국에서는 25분마다 1명씩 라돈노출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해 자살, 음주운전사망 보다 라돈에 의한 사망률이 더 높다고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라돈 농도가 높은 나라로 꼽힙니다. 한국 지질은 화강편마암구조가 많아 우리 국민도 라돈에 적잖이 노출돼있다는 발표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지나칠 정도로 자제하는 분위기입니다. 국민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학계와 민간단체들이 뛰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미국에서 중간정도 규모의 라돈이 발생하는 코네티컷 주정부는 모든 주택에서 라돈 측정을 권고하고, 모든 공립학교에서는 5년 주기로 라돈을 측정해야 합니다.
우리도 라돈의 심각성과 대처방법을 지속적으로 홍보해야 합니다. 환기만 잘해도 상당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맞춤형 대책을 찾아야 한다는 사실을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 알리고 도와야 합니다. 잘못된 측정기 사용방식으로 막연한 불안감만 키우고 공포마케팅이 확산되도록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관련 법규를 정비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저항이 심할 수 있지만, 정부는 중심을 잡고 정책을 추진해야 합니다. 지자체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사령탑을 구성해 라돈 저감방침을 세우고, 시민들과 정보를 공유해야 합니다. 정밀한 라돈지도를 작성·공개하고 필요시 시민들 스스로 라돈저감공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지자체 조례에 라돈저감건축을 삽입하고, 부동산 거래 계약서에 라돈농도를 명기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바로 지금이 라돈이 미래세대에 미칠 영향을 제대로 인식하고 선제적 노력을 기울일 때입니다.

김익수
환경일보 편집대표이며, 한국환경정책학회 이사와 녹색기술센터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