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응할, 경제 수종으로 갱신해야

숲은 사람들의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물을 저장하며,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교육 및 휴식공간도 제공하지요.
그런데 금수강산을 자랑하던 대한민국이 일제 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며 산림황폐라는 큰 아픔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1973년부터 국가차원의 대대적인 녹화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산에서 낙엽채취를 금지하는 등의 노력 결과 70년대 10㎥에 불과했던 산림축적이 40여 년이 지나자 OECD 국가 평균보다 많은 146㎥에 이르렀습니다. 1982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는 한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산림녹화를 이룬 유일한 국가라고 평가했습니다. 우리나라 산림녹화, 복원분야는 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개발도상국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됐습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 숲이 미래 온실가스 흡수원이나 저장고 역할을 하기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산림녹화기에 심은 나무들이 어느새 장년을 넘겨 늙고 있어 젊은 나무들처럼 왕성하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이제 젊은 나무 비율을 높여야 합니다. 고령 나무는 베어 탄소를 잘 저장토록 방부·보존 처리해 목조주택이나 가구 등을 만드는데 활용하고, 빈 공간에는 많은 탄소를 흡수할 어린 나무를 심어야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목의 83%를 수입하는 데 2015년에만 5조 원을 지불했습니다. 그런데 고령 나무를 베어 목재 자급율을 1%만 높이면 500억 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제는 산림보존에 과감한 전환이 필요합니다. ‘젊은 숲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노력해야 합니다. 사람도, 숲도, 때 되면 후대에 물려주고 떠나는 것이 미덕일 듯합니다. 식목일을 법정공휴일로 다시 지정하고 모두 함께 나무를 심으면 어떨까요.

환경일보 편집대표이사이자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KAIST와 POSRI 연구위원,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에너지공단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