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은 씨는 남편을 ‘아빠’라 부른다. 가끔 잘못됐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아빠’를 줄여서 하는 말인데 뭐” 라며 고치지 않고 있다. 실은 그렇게 부르다보니 뭔가 채워지는 느낌이 들어서 좋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만의 아빠가 필요해
언제부턴지 아버지를 ‘아빠’라 부르며 매달리는 아이들을 보면서, 어렸을 적에 그래본 적이 있나 생각해보니 기억이 나지 않았다. 형제가 많은 가운데 우리 엄마 아버지는 내 몫이 아닌 n분의 1, 그것이 공평한 것이었음을 잘 알고 살아온 것이다. 오히려 ‘나 하나’ 라도 조용히 있자는 마음으로 지냈던 것 같다.
아이들 낳아 키우며 많은 일들 속에 세월의 한 뭉텅이가 지나갔다.
아마 그래서 중년의 경은 씨는 아이들이 떠난 ‘빈 둥지’에서 웬만한 건 다 들어주는 남편에게 ‘아빠’라 부르는 게 좋은 모양이다.

순하고 보드라움에 끌려
그 즈음 경은 씨는 가게 앞을 지나가다 문득 폭신한 봉제 인형 앞에 멈춰 섰다. 순하고 보드라운 모습을 한 하얀 토끼가 너무도 사랑스러웠다. “이거 얼마예요?” “5만원이요.”
파스텔 톤의 연한 색 옷을 입은 토끼가 딱 친구 같았다. 종업원이 ‘손자’ 운운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러기엔 젊어보였던 거 같다.
‘찾아보면 집에 아이들이 갖고 놀던 게 분명히 있을 텐데.’
정신이 들어 그 토끼를 내려놓고 돌아왔다. 토끼는 없어. 그런 토끼는 없었다. 대신 흔한 곰돌이 몇 중에서 단단한 심이 들어가지 않은 말랑한 작은 거 하나를 찾았다. 이런 저런 액세서리를 떼어내니 괜찮은 남자 곰이었다. 좀 미흡하지만 가까이 두고 보기로 했다. ‘사랑하면 정말 내 거가 된단다.’ 어릴 때 읽었던 그림 동화를 생각하며 바라보았다.
친구에게 이런 얘기를 했더니 여자 곰을 선물해 주었다. 남자 곰 팔로 어깨를 두르니 다정함이 느껴져 왔다. 이만하면 됐다.

꿩 대신 닭
유아스럽고 예상치 못한 자신의 모습에 경은 씨는 ‘왜 그러는 걸까?’ 내심 질문하면서도 바라볼 때마다 웃음이 나오며 위로가 되는 거 같았다.
어릴 때 형제 많고 오가는 객식구들이 많은 가운데 인형들을 맘대로 펴놓고 놀지 못해서였을까, 그즈음 읽은 톨스토이의 단편집에서 ‘사랑이 전부’라는 메시지를 받아 말랑한 감촉의 보드라운 인형이 필요했던 것일까. 아니면 아이들이 집을 떠난 자리, 빈 둥지가 허전해서 갖게 된 마음일까. 그토록 필요로 했던 자신만의 세계를 이제 갖기 시작하는 신호탄일까.
경은 씨 남편 ‘아빠’는 그 인형들 먼지를 털어주며 한 마디씩 한다.
“어떻게 세월을 거꾸로 살아?”
“가끔 이해가 안돼요, 이해가.”
가끔 하얀 토끼 인형도 사야 할까 생각해 보지만, 지금 경은 씨는 자신의 욕구를 찾아 곰돌이를 재활용한 기쁨이 한참 갈 거 같다.

객원기자 전영혜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