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수많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등학교 교문에 꽂힌 노란 리본과 장미꽃을 보는 마음, 무어라고도 표현할 단어가 모자랍니다. 세월호 참사는 대한민국의 현주소 그대로입니다. 안전 불감증에 걸린 선박회사와 선장 및 선원, 허술한 정부의 재난 구조 시스템, 선정적인 언론 보도 및 사기 스미싱, 건전하지 못한 이단집단의 배후 연루 등등. 부끄러운 속살이 드러나면서 대한민국이 수치의 바다에 함께 빠진 것입니다. 이기주의와 물신 풍조,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된 우리네 자화상입니다.
영국에는 국민 모두가 긍지를 가지고 지켜 내려오는 전통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버큰헤드 호(號)를 기억하라! Remember Birkenhead!”는 말을 나누는 것입니다. 항해 중에 재난을 만났을 때, 그 배에 타고 있는 선원이나 승객들이 침착하게 속삭이는 말입니다.

지키기 어려운 전통
해양국가인 영국의 해군에서 만들어진 이 전통 덕분에 오늘날까지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생명이 죽음을 모면해 왔습니다. 일찍이 인류가 만든 많은 전통 가운데 이처럼 지키기 어려운, 그리고 아름다운 전통은 없을 것입니다. 이는 인간으로 갖추어야 하는 인격과 사랑과 책무에 대한 최고의 덕목이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는 185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영국 해군의 수송선 ‘버큰헤드호’가 승조원과 그 가족을 태우고 남아프리카를 향하여 항해하고 있었습니다. 그 배에 타고 있던 사람은 모두 630명으로, 130명이 부녀자였습니다.
아프리카 남단 케이프타운으로부터 약 65Km 가량 떨어진 해상에서 배가 바위에 부딪쳤습니다. 시간은 새벽 2시. 승객들이 잠에서 깨어나면서 선실에는 소란이 일어났습니다.
그 때 또 한 차례 파도가 밀려와 배가 다시 한 번 세게 바위에 부딪쳤습니다. 배는 이제 완전히 허리통이 끊겨 침몰되어가고, 사람들은 그 사이에 가까스로 선미(船尾)쪽으로 피신했습니다. 이들 모두의 생명은 이제 문자 그대로 경각에 달려 있는 셈이었습니다.
게다가 선상의 병사들은 거의 모두가 신병들이었고 몇 안되는 장교들도 경험이 그다지 많지 않은 젊은 사관들이었습니다. 구명정은 모두 3척, 1척당 정원이 60명으로 180명 밖에 탈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더구나 이 해역은 사나운 상어가 우글거리는 곳이었습니다.
반 토막이 난 배는 시간이 흐를수록 물속으로 가라앉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풍랑은 더욱더 심해갔습니다. 죽음에 직면해 있는 승객들의 절망적인 공포는 이제 극도에 달해 있었습니다.

함장의 지시대로
함장 시드니 세튼 대령은 전 병사들에게 갑판 위에 집합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병사들은 함장의 지시에 따라 마치 아무런 위험도 없는 훈련처럼 민첩하게 행동하여 부녀자들을 3척의 구명정으로 하선시켰습니다. 마지막 구명정이 그 배를 떠날 때까지 갑판 위의 사병들은 사열식을 하고 있는 것처럼 꼼짝 않고 서 있었습니다. 구명정에 옮겨 타고 생명을 건진 부녀자들은 그 갑판 위에서 의연한 모습으로 죽음을 맞는 병사들을 바라보며 흐느껴 울었습니다.
마침내 ‘버큰헤드호’가 파도에 휩쓸려 완전히 침몰하면서 병사들의 머리도 모두 물속으로 잠겨 들었습니다. 그 날 오후 구조선이 그곳에 도착하여 살아있는 사람들을 구출하였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436명의 목숨이 수장된 다음의 일이었습니다. 함장 세튼 대령도 배와 함께 운명을 같이했습니다. 목숨을 건진 사람 중의 하나인 91연대 소속의 존 우라이트 대위는 나중에 이렇게 술회했습니다.
“모든 장병들의 의연한 태도는 최선의 훈련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을, 상상하는 바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누구나 명령대로 움직였고 불평 한마디 하지 않았다. 그 명령이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것임을 모두가 잘 알면서도 마치 승선 명령이나 되는 것처럼 철저하게 준수하였다.”
이 사건은 영국은 물론 전 세계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던져 주었습니다.
‘버큰헤드호’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기념비가 각지에 세워졌습니다.
‘여자와 어린이 먼저’라는 훌륭한 전통이 세워진 것은 바로 이 사건 이후부터였다고 합니다.

부끄러운 세월호를 기억하며
이제 우리 대한민국은 “부끄러운 세월호를 기억하라!”는 말을 나누면서 이기주의와 물신주의를 성찰하고, 돌이켜서, 더 이상 이런 부끄러움과 슬픔이 반복되지 않아야 이번의 희생이 헛되지 않을 것 아닐까 깊이 생각합니다.
우리에게 품격있는 죽음, 사람을 살리는 결단, 불법을 눈감아주는 썩은 관행에서 단번에 벗어나는 결단과 임무에 대한 정직성과 소명의식, 이것이 회복되어야 세월호의 참사가 헛되지 않고 희망의 꽃을 피울 수 있겠지요!

이박행
18년 전,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을 마치고 두레공동체에서 목회자로 사역하다가, 전남 보성 천봉산 자락에 들어가 점점 늘어가는 암환우들을 돌보는 전인치유센터를 아름답게 세워 운영하면서 한편으로는, 기독교환경운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