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헬
미모에 사랑까지 가진 그녀, 그러나…
언니 레아와 경쟁하며 남편 독점하였으나 결국 단명에 객사로 마감… ‘공의의 하나님’ 발견

라헬은 사랑스러운 여인이었다. 그녀의 곱고 아리따운 용모에 반한 노총각 야곱은(창 29:17-20) 7년 동안이나 외삼촌 라반을 위해 삯도 포기하며 머슴 노릇을 하였다. 단 하나의 조건은 7년 후 그녀와 결혼하는 것뿐이었다. 야곱이 라헬을 아내로 얻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는 그것만으로도 부족하였다. 첫 날 밤 신부를 라헬 대신 레아를 야곱의 방에 밀어 넣은 장인 야곱 때문에 다시 7년을 더 머슴으로 살고 난 다음에야 라헬과 결혼할 수 있었다. 한 여인을 얼마나 사랑했으면 무려 14년의 세월을 종살이 할 수 있을까? 라헬이 충분히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여인이 아니고선 상상 못할 스토리이다. 그뿐 아니다. 라헬의 남편 야곱은 두 처와 두 첩을 둔 사내였음에도 유독 라헬만을 일편단심 연애하고 사랑했다. 얼마나 사랑했기에…. 야곱이란 한 사내의 이런 사랑과 편애를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치시려는 건 무엇일까?

#야곱의 사랑과 편애

야곱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야곱의 어머니 리브가를 함께 떠올려야 한다. 유독 라헬만을 끔찍하게 사랑하였던 까닭은 그녀에게서 어머니 리브가의 용모와 잔상을 고스란히 느꼈을 가능성이 크다. 77년 동안 오직 영적 장자의 신분을 얻으려는 집념으로 살아온 야곱이었다. 그런 그를 이해해준 유일한 여인이 어머니 리브가였다. 라헬은 그런 리브가를 빼닮은 어머니의 친정 조카였다. 라헬을 향한 야곱의 사랑은 그러므로 또 하나의 집념이고 집착인지도 모른다. 평생 야곱은 이 집착에서 벗어나지 못한 듯하다. 왜냐면 라헬이 죽은 뒤 그녀의 분신인 아들 요셉을 야곱이 얼마나 편애했는지를 보면(창 37:3-5) 잘 드러난다. 라헬과 요셉을 편애하였으므로, 야곱은 숙적이라 할 에서와 요단 강가에서 20년 만에 마주쳤을 때도(창 31:38) 두 사람을 안전한 후미로 빼돌렸다(창 33:1-3).
라헬도 야곱의 사랑을 독점하고자 애썼다. 고모이자 시어머니인 리브가를 닮은 미인이었으므로 남편으로부터 특별한 사랑을 받은 그녀였다. 그 사랑을 죽을 때까지 차지하고 싶었던 게다. 라헬의 이런 의도가 드러나는 사건이 있다. 언니 레아가 쉽게 아들을 낳았음에도 자신에게는 수태의 기미가 보이지 않자 라헬은 그녀의 시할머니 사라처럼 몸종 빌하를 첩으로 남편에게 주어 아들 둘을 생산하게 했다(창 30:1-8). 몸종이 생산한 자식이라도 자기 슬하에 두어 야곱의 마음을 계속 붙잡고 싶었던 라헬의 욕망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드디어 13년 만에 요셉을 잉태하고 나서 라헬은 태를 여시는 분이 하나님이심을 깨닫는다(창 30:2, 25-28, 29:18-20, 30, 31:38).
임신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합환채를 얻기 위해 언니에게 남편을 하룻밤 ‘빌려준’ 라헬(창 30:15-17). 또 그녀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야곱…. 그들을 바라보신 하나님께서 내리신 처방은 어찌 보면 참 공평하였다. 언니 레아에게 아들 여섯과 딸 하나를 주신 다음에야 라헬의 태를 여셨다(창 30:22). 라헬에겐 단명하게 하시고 그것도 길거리에서 죽게 하셨으며, 레아에게는 오래 살아 막벨라 굴에 안장되게 하셨다. 충분한 보상과 균형을 발견한다. 만약 이 세상에서 이런 균형과 보상이 모두 성취되지 아니하면 천국에서 정산된다는 사실을 설명해주신 분은 예수님이다(욥 19:25-29, 23:3-7, 33:4, 26-33, 눅 16:19-25, 18:22, 30, 19:24-27, 마 25:44-46).

#균형과 보상은 존재한다

라헬은 권력을 알았다. 친정에서 야반도주하는 숨가쁜 순간에도 그녀는 라반의 권력을 상징하는 드라빔을 훔쳐 내었다(창 31:19). 드라빔에 깃든 권력의 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거짓말과 거짓 연기도 서슴지 않은 라헬이었다(창 31:33-35). 게다가 언니인 레아와 끊임없이 경쟁하며 남편을 독점한 라헬이었다. 권력과 사랑의 독점, 그것은 함께 살고 함께 번영하라는 복의 원리(창 1:26-31, 막 3:4)를 정면으로 거스른 행위였다. 라헬이 믿음의 어미가 묻힌 막벨라 굴에 장사되지 못한 까닭은 어쩌면 이 때문인지 모른다. 그녀의 소생 요셉도 하나님의 사람이 되기 위해 13년간 노예생활과 옥고를 치러야 했다. 라헬이 그렇게 소망한 대권 역시 레아의 소생 유다 자손이 장악하였다.
라헬의 인생에서 우리는 공의의 하나님을 만난다. 공의란 무엇인가? 사랑과 권력을 독점하지 아니하며, 골고루 나누어 가짐으로써 함께 살고 함께 번영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랑을 독점하고자 하면 편애할 수밖에 없고, 편애는 미움을 동반한다. 권력의 독점은 거짓과 불신을 동반하여 마침내 하나님의 간섭으로 불공정한 경쟁시대를 마감할 수밖에 없다. 허무한 인생의 종말을 맞은 라헬처럼 말이다. 그러나 끝내 이스라엘을 사랑한 라헬의 사랑만은 뒷날 아들 요셉과 그 후손 여호수아에 의해 계승되어 만민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깨닫고(창 50:20)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헌신의 모습으로 계승되었다.

손진길
서울공대 재학시절 기독학생회장을 지냈다. 제5회 입법고등고시를 합격하여 국회 행정처에서 탄탄대로를 걸었고, 정치학 박사학위도 받았다. 그러나 어느 날 돌연 사표를 던지고 뉴질랜드로 이민 가서 농삿꾼이 되었다. 성경연구에 몰두하여 텐트메이커 사역자 바울처럼 현재 호주 시드니에서 청소부 노릇을 하면서 '오픈바이블스터디'를 이끌고 있다.
저작권자 © 아름다운동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